fnctId=bbs,fnctNo=3504 총 28 건이 등록되었습니다.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공통(상단고정)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전라문화총서30-무성서원의 역사적 위상과 활용 방안 작성자 전라문화연구소 발간일 2023.12 조회수 140 첨부파일 0 등록일 2024.07.03 목차 1. 전라북도 서원ㆍ사우의 현황과 무성서원의 위상_한문종/2. 불우헌 정극인의 상춘곡에 대한 소고_윤인현/3. 무성서원 일대 문화재 추진 전략_남해경/4. 무성서원과 채용신의 회화 활동_유미나/5. 태산선비문화권의 설정과 활성화 방안_박정민 전라문화총서28-전북지역 고문서집성Ⅰ 작성자 총관리자 발간일 2008.08 조회수 346 첨부파일 1 등록일 2009.04.05 인의송씨(송종열)소장 고문서통천김씨(김응혁)소장 고문서통천김씨(김재현)소장 고문서전주류씨(류월준)소장 고문서수원백씨(백광제)소장 고문서수원백씨(백영웅)소장 고문서창원황씨(황교익)소장 고문서전라문화연구소 소장 고문서강암서예관 소장 고문서송만오 소장 고문서논고 전라문화총서27-조선왕조실록과 적상산 사고 작성자 총관리자 발간일 2008.03 조회수 278 첨부파일 1 등록일 2009.04.05 목차1. UNESCO 세계기록문화유산 『조선왕조실록』_이성무2.『조선왕조실록』의 편찬과 사료적 가치_김경수3.『조선실록』의 보존관리_배현숙4. 적상산사고의 설치운영과 무주의 변화_박대길5.『조선왕조실록』과 적상산사고의 활용방안_신병주 전라문화총서26-農山 申得求의 天設·天人辯 작성자 총관리자 발간일 2007.08 조회수 208 첨부파일 1 등록일 2009.04.05 목차農山 申得求와 그의 天設_송준호天設天人辯 上天人辯 中天人辯 下附錄 전라문화총서25-조선시대 전라도 양반문화와 전통 작성자 총관리자 발간일 2007.08 조회수 360 첨부파일 1 등록일 2009.04.05 목차1. 조선후기 양반문화의 성격론_정구복2. 조산후기 전라도 지방에 살았던 어느 몰락양반 이야기_송만오3. 16세기 소쇄원시단형성과 사림파의 시적전개_박명희4. 전라북도 양반가문의 주거문화 특성_박선희5. 전라도 음식문화형성과 양반가문의 관계_김정옥 전라문화총서24-자료조사연구로 본 전라문화 작성자 총관리자 발간일 2006 조회수 274 첨부파일 1 등록일 2007.08.28 전라문화연구소전북지역 민중생활사 자료와 아카이브구축의 의미 / 함한희구술 생애사를 통한 민속연구-혼례민속을 중심으로 / 한미옥전북지역 판소리 자료의 수평적 연결망 구축 필요성과 방안 / 윤영옥전북지역 서원 사우의 현황과 성격 / 최범호전북 士林 資料調査를 통한 儒學思想 小攷 / 이형성石亭 李定稷의 繪畫世界와 全北 畵壇 / 이선옥 전라문화총서23-임진왜란 웅치전투와 그 전적지 작성자 총관리자 발간일 2006 조회수 296 첨부파일 1 등록일 2007.08.28 전라문화연구소임란 극복의 동력과 호남의 역할 / 조원래임진왜란 초기 호남방어와 웅치전투의 역사적 의의 / 하태규웅치전적지에 대한 지역민의 인식과 전승자료 / 이용엽지표조사(고고학적)를 통해서 본 웅치전적지 / 윤덕향웅치전적지의 정비와 활용방안 / 박재광 전라문화총서22-정여립이여, 그대 정말 모반자였나! 작성자 총관리자 발간일 2006 조회수 213 첨부파일 1 등록일 2007.08.28 저자 : 이희권제1장 정여립이 살았던 시대제2장 정여립, 그는 누구인가?제3장 정여립 사건의 미스터리제4장 정여립 사건의 진상제5장 정여립 사건을 일으킨 사람들제6장 정여립 사건-조작된 모반사건제7장 정여립 사건의 여파-전라도 차별 전라문화총서21-전북지방 고문서의 연구현황과 과제 작성자 총관리자 발간일 2006 조회수 219 첨부파일 1 등록일 2007.08.28 전북대학교박물관 고문서연구팀고문서 전문 연구인력 양성의 현황과 과제 / 이병규고문서 자료의 대중화 방안에 대하여 / 최윤진전북지방 고문서 조사와 연구현황 / 정성미전북대학교박물관 소장 고문서의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 / 유호석古文書를 통해 본 全北 淳昌 蘆洞韓氏의 역사 / 송만오부록 전라문화총서20-전주세계소리축제를 통해 본 지역축제와 문화권력 작성자 총관리자 발간일 2004 조회수 181 첨부파일 1 등록일 2007.08.28 저자 : 진명숙1. 왜 축제연구인가2. 전주, 전라북도, 소리의 함수관계3. 소리축제의 성립 배경4. 소리축제의 준비 과정5. 소리축제 훑어보기6. 소리축제와 문화권력집단의 담론들7. 소리축제, 지역정체성, 그리고 지역문화권력8. 맺음말 처음 13 1 2 3 다음 페이지 끝